Skip to content

방문자 수

방문자수

전체 : 4,518,989
오늘 : 943
어제 : 1,351

페이지뷰

전체 : 80,194,336
오늘 : 2,021
어제 : 5,973
조회 수 2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제목 / 눈을 뜨고 보게 된 것

본문 / 9:24-38

 

1. 유대인의 사고방식

예수님이 날 때부터 맹인된 자의 눈을 뜨게 하신 것은 유대인들로서는 참으로 곤란한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맹인을 고치는 것과 같은 신비한 일은 하나님의 능력을 받은 하나님의 선지자들만이 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 유대인의 사고방식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예수님이 맹인의 눈을 뜨게 한 능력을 보였다는 것은 곧 그가 하나님이 보내신 하나님의 종이라는 증거로 작용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예수님에 대한 유대인들의 입장은 예수님 스스로 하나님께로부터 보냄을 받았다고 하는 주장에 대해서 전혀 인정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이 하나님을 모독하는 자라 여기며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그런 예수님을 죽이려고까지 하였는데 만약 맹인을 고치신 것을 예수님의 능력으로 인정한다면 결국 자기들 스스로가 예수님을 하나님이 보내신 하나님의 종으로 인정해 버리는 꼴이 되는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유대인들은 눈을 뜬 맹인을 직접 목격하고 있으면서도 그 일을 예수님이 하지 않은 것으로 만들어야만 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맹인을 불러서 예수님을 죄인으로 몰아갑니다. 그리고 영광을 하나님에게 돌리라고 합니다. 즉 예수님이 아니라 하나님이 하신 일로 맹인 스스로 고백하게 함으로써 맹인이 눈을 뜬 것을 목격한 사람들로 하여금 예수님을 하나님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사람으로 몰아가려고 한 것입니다.

 

2. 맹인의 믿음

오늘 본문에 보면 이러한 유대인들에게 맹인은 “31. 하나님이 죄인의 말을 듣지 아니하시고 경건하여 그의 뜻대로 행하는 자의 말은 들으시는 줄을 우리가 아나이다 32. 창세 이후로 맹인으로 난 자의 눈을 뜨게 하였다 함을 듣지 못하였으니 33. 이 사람이 하나님께로부터 오지 아니하였으면 아무 일도 할 수 없으리이다”(9:31-33)는 말을 합니다.

맹인은 예수님을 하나님께로부터 온 사람이라고 주장합니다. 맹인은 과연 무엇을 근거로 해서 그러한 주장을 하는 것입니까? 맹인이 예수님을 잘 알았기 때문에 하나님께로부터 오신 분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맹인이 그런 주장을 하는 것은 예수님이 자신의 눈을 뜨게 하신 일을 근거로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자신의 눈을 뜨게 했다는 것 때문에 무작정 하나님께로부터 왔다는 주장을 하는 것도 아닙니다. 놀랍게도 맹인의 주장은 참으로 논리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맹인은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가로부터 출발합니다. 맹인이 말하는 하나님은 죄인을 듣지 않으시고 경건하여 그의 뜻대로 행하는 자는 들으시는 분이었습니다. 그리고 날 때부터 맹인 된 자의 눈을 뜨게 한다는 것은,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하나님만이 할 수 있는 일로 여겼습니다. 그런데 창세 이후로 아무도 맹인으로 난자의 눈을 뜨게 하였다는 말을 들은 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맹인의 말, 즉 창세 이후로 날 때부터 맹인 된 자의 눈을 뜨게 하였다는 말을 들은 적이 없다는 의미는 결국 창세 이후로 하나님 보시기에는 아무도 경건하여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는 자가 없었다는 증거인 것입니다.

그런데 예수님이 날 때부터 맹인된 자의 눈을 뜨게 했습니다. 맹인은 그것을 하나님이 예수님의 말을 들으신 것으로 믿는 것입니다. 이처럼 하나님이 예수님의 말을 들으셨다면 예수님은 유대인들의 주장과는 달리 죄인이 아닌 것이며, 경건하여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시는 유일한 분이라는 것이 맹인의 주장인 것입니다.

맹인의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생각해 본다면, 맹인의 말처럼 하나님이 예수님의 말을 들음으로 예수님이 경건하여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시는 유일한 분이신데 그런 예수님을 죄인이라고 몰아세우는 유대인들은 결국 자신들 스스로가 우리는 죄인이 아니다는 것을 드러내는 것입니다. 그리고 자신들이 곧 경건하여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는 무리임을 주장하는 것이 됩니다. 그렇다면 중요한 것은 맹인의 논리처럼 하나님이 경건하다고 주장하는 그런 그들의 말을 들으셔야만 한다는 것이고 그리고 그런 그들은 예수님처럼 날 때부터 맹인 된 자를 고칠 수 있어야만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우리의 기도를 듣지 않으신다는 말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그 이유로 모든 인간은 죄인이라는 것입니다. 죄를 지었기 때문에 죄인으로 불려지는 것이 아닙니다. 죄가 되는 어떤 행동이 있기 때문에 죄인으로 불려지는 것이 아니라, 죄의 행동이 있느냐 없느냐에 상관없이 인간은 죄인인 것입니다. 그것은 죄인의 규정이 행동을 보고 내려지는 것이 아니라, 그 본질 자체를 두고 판단 되어진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인간의 본질 자체가 죄라는 것입니다.

죄인인 인간이 원하는 것은 언제나 자기중심입니다. 하나님의 뜻을 위해서 자신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위해서 하나님의 뜻이 포기되어지기를 바라는 욕구로 살아갑니다. 그러한 인간이 기도한다면 그 기도에 과연 어떤 뜻이 실려 있겠느냐는 것입니다.

요한복음 14장에 보면 내 이름으로 무엇이든지 내게 구하면 내가 행하리라”(14:14)는 말씀이 있습니다. 또 요한복음 15장에도 보면 너희가 내 안에 거하고 내 말이 너희 안에 거하면 무엇이든지 원하는 대로 구하라 그리하면 이루리라”(15:7)는 말씀을 합니다.

이 말씀에 보면 무엇이든지 구하면 시행하겠다고 하고, 무엇이든지 원하는 대로 구하면 이루리라고 말합니다. 사람들은 이 말에 많은 희망을 두기도 합니다. 무엇이든이라는 말을 마치 알라딘 램프나 무슨 도깨비 방망이처럼 여기는 것입니다.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기도만 하면 다 주신다는 것으로 이해하고, 열심히 기도만 하면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여기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기도에 대한 대단한 착각이요 병폐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결국 무엇이든이라는 말로써 자신의 욕구에 더욱 부채질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무엇이든이라는 말은 인간의 욕구를 두고 하는 말이 아닙니다. 요한복음의 말씀을 보면 무엇이든이라는 말 앞에 붙어있는 단서가 있습니다. 그것은 내 이름으로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무엇이든 구하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또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거할 때 그리고 그리스도의 말씀이 우리 안에 거할 때 무엇이든 원하는 대로 구하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거하고, 그리스도의 말씀이 우리 안에 거한다면 과연 우리가 원하는 것은 누구의 뜻이겠습니까? 내 뜻이겠습니까? 아니면 그리스도의 뜻이겠습니까? 분명 그리스도의 뜻일 것입니다. 결국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스도의 뜻을 마음에 세우고 살아가는 신자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그리스도의 뜻에 일치된 것일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러한 무엇이든에는 하나님은 시행하시고 이루신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기도는 우리의 뜻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우리가 과연 그리스도의 뜻에 순종하며 내 뜻을 포기하는 자로 살아가는가를 확인하는 시간인 것입니다. 하나님이 우리의 기도를 들으신다면, 그것은 그 기도가 우리의 뜻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뜻에 일치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하나님은 죄인의 기도는 듣지 않으십니다. 맹인이 이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맹인의 말에는 잘못된 것이 없습니다. 극히 성경적이며 하나님의 가르침에 전혀 벗어나지 않습니다. 맹인은 자신의 경험에서 그리스도만을 보고 있으며, 그분을 자신이 알게 된 사실 그대로 증거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맹인의 말을 들은 유대인들이 어떤 반응을 보입니까? 오늘 본문 34절을 보면 그들이 대답하여 이르되 네가 온전히 죄 가운데서 나서 우리를 가르치느냐 하고 이에 쫓아내어 보내니라”(9:34)고 말합니다. 맹인이 유대인들로부터 쫓겨나게 된 것입니다. 다른 말로 하면 예수님을 증거한 것 때문에 출교를 당하게 된 것입니다.

맹인은 눈을 뜬 대신에 자신이 함께 거하던 무리로부터 쫓겨나게 된 것입니다. 우리가 맹인의 입장이라면 과연 무엇을 선택하겠습니까? 차라리 맹인으로 살지언정 자신의 동료들과 함께 살기를 원하겠습니까? 아니면 쫓겨나도 눈을 뜨는 것이 좋습니까? 어쩌면 우리는 눈도 뜨고 쫓겨나지도 않는 길을 꿈꿀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것이 바로 최후의 순간까지 나 자신을 포기하지 않고 보호하려고 하는 우리의 모습인 것입니다.

 

3. 신자의 믿음

오늘 본문을 보면서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예수 믿는다고 해서 우리 인생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예수를 믿음으로 인해서 인생이 힘들고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세상에서 믿음으로 산다는 것은 마치 예수를 싫어하는 유대인들에게 예수님은 하나님께로부터 온 분임을 증거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러니 힘들 수밖에 없습니다. 신자가 살아가는 세상은 예수님을 아는 사람들끼리 어울리고 사는 곳이 아닙니다. 복음을 알고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사람들끼리 어울려 형제자매하면서 모든 것을 이해하고 섬기고 희생하며 살아가는 천국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신자가 사는 곳은 예수 믿기 전과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다른 것은 믿기 전에는 세상과 어울리고 세상의 사고방식이 옳은 것으로 여겨졌는데, 그리스도를 안 후에는 그 모든 것이 악한 것으로 그리고 세상이 멸망의 곳으로 보여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그 속에 머물면서 세상과 맞지 않는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살아야하기 때문에 힘들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신자의 삶을 전투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신자는 그리스도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 신앙은 결코 입으로 고백하고 생각만 하는 차원의 것이 아님을 깨닫게 됩니다.

사실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많은 말을 하며 삽니다. 이렇게 하겠다 저렇게 하겠다는 뜻을 세울 때도 많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말들이 내 것이 아닌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물론 그냥 한번 해본 말이 아닐 수도 있고, 그 순간은 진심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인생의 어려움이 없는 가운데서 쉽게 나온 말인 경우가 더 많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신자는 예수님을 증거하고 고백함으로 인해서 어려움에 처할 수 있는 상황이 참된 신앙의 자리로 돌아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신앙은 우리의 울타리가 아닙니다. 보호막이 아닙니다. 세상으로부터 쫓겨나지 않고 외면당하지 않고 자기 자리를 굳건히 하기 위해서 예수님을 선택한 것이라면 그것은 단지 예수라고 이름하는 우상을 하나 끼고 있을 뿐입니다. 그러므로 신자는 어려움이 있을 때 그동안 신앙을 떠벌렸던 자신의 말이 얼마나 힘이 없고 말만 있는 것이었는가를 알 수 있는 것입니다.

맹인은 유대인들로부터 쫓겨났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맹인에게는 예수님을 만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오늘 본문 35절을 보면 예수께서 그들이 그 사람을 쫓아냈다 하는 말을 들으셨더니 그를 만나사 이르시되 네가 인자를 믿느냐”(9:35)라고 말합니다. 쫓겨남을 당한 맹인을 예수님이 만나신 것입니다. 오늘 우리에게는 이것이 참으로 중요합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세상에서 구출하신 분입니다. 그것은 우리의 육신을 세상과 다른 세계로 끄집어내셨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방식이 세상으로부터 벗어난 것을 뜻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을 세상에서 끄집어내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신자의 마음은 세상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를 향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이 세상에 머물러 있다면 우리는 예수님에 대한 맹인일 수밖에 없습니다. 예수님을 보지 못할 것이며 예수님을 만날 수도 없습니다. 세상으로 인해서 마음이 부요하니 십자가 지시고 낮은 자로 오신 그리스도의 섬김과 희생이 보일 리가 없습니다.

쫓겨난 맹인에게 찾아오셔서 네가 인자를 믿느냐?’라고 물으신 그 이유를 깊이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인자는 고난받으신 예수님을 의미합니다. 고난 받으신 예수님을 믿는 자는 예수님과 함께 고난에 거하기를 주저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예수님 때문에 세상에서 쫓겨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이러한 신자만이 십자가 지신 그리스도를 만날 수 있습니다.

신자가 고난을 거부하고 회피한다면 그리고 고난 때문에 예수님을 예수님으로 증거하기를 피해버린다면 어떻게 고난의 예수님을 만날 수 있겠습니까? 혹시 오늘 우리가 그러한 자는 아닌지 생각해 보시고 우리 모두의 인생에서 단지 이름만의 예수가 아니라 십자가에 죽으신 고난의 예수님을 만나시고 그분이 우리 인생의 중심이 된 삶이 되기를 바랍니다.

 

  1. 12월 25일 / 성탄감사예배 / (마 2:1-12) 동방박사와 별

    Date2024.12.25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679
    Read More
  2. 12월 22일 / 요한복음 62. (요10:22-24) 주 안에 있는 영생

    Date2024.12.22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715
    Read More
  3. 12월 22일 / 마태복음 5. (마1:22-25) 임마누엘 예수

    Date2024.12.22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46
    Read More
  4. 12월 15일 / 요한복음 61. (요 10:22-24) 예수를 밀어내는 것

    Date2024.12.15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646
    Read More
  5. 12월 15일 / 마태복음 4. (마 1:18-21) 성령으로 나신 예수님

    Date2024.12.15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57
    Read More
  6. 10월 8일 / 요한복음 60. (요10:10-21) 선한 목자와 삯꾼 new

    Date2024.12.08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983
    Read More
  7. 12월 8일 / 요한복음 3. (요 1:7-17) '에게서'

    Date2024.12.08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76
    Read More
  8. 12얼 1일 / 요한복음 59. (요 10_78-9) 양의 문이신 예수님

    Date2024.12.01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784
    Read More
  9. 12월 1일 / 마태복음 2. (마 1:2-6) 예수님의 계보의 여인들

    Date2024.12.01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682
    Read More
  10. 11월 24일 / 마태복음 1. (마 1:1)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

    Date2024.11.24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851
    Read More
  11. 11월 17일 / 추수감사주일 / (신16:13-17) 신자의 초막절

    Date2024.11.17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80
    Read More
  12. 11월 10일 / 요한복음 58. (요 10:1-6) 참 목자와 참 양

    Date2024.11.10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818
    Read More
  13. 11월 10일 / (롬 4:1-8) 참 믿음과 거짓 믿음

    Date2024.11.10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204
    Read More
  14. 11월 3일 / 요한복음 57. (요 (9:: 39-41) 본다고 하는 죄 new

    Date2024.11.03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863
    Read More
  15. 11월 3일 / (롬 6:1-4) 하나님과 죄

    Date2024.11.03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964
    Read More
  16. 10월 27일 / (요일 1:8-10) 진리와 죄

    Date2024.10.27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79
    Read More
  17. 10월 20일 / 요한복음 56. (요 9:24-38) 눈을 뜨고 보게 된 것

    Date2024.10.20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293
    Read More
  18. 10월 20일 / 요한계시록 81. (계 22:16-21) 아멘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

    Date2024.10.20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552
    Read More
  19. 10월 13일 / 요한복음 55. (요 9:13-34) 눈 뜬 자의 경험

    Date2024.10.13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812
    Read More
  20. 10월 13일 / 요한계시록 80. (계 22: 8-15) 행한 대로 갚아 주리라

    Date2024.10.13 Category2024 By관리자 Views110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총괄 관리자 : 예원교회 방송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